기자수첩/ 안전, 다시 생각할 때
기자수첩/ 안전, 다시 생각할 때
  • 李周映
  • 승인 2017.07.20 14:23
  • 댓글 0

   
 

[시정일보]지난 2014년 4월 세월호 사건 이후, 안전에 대한 사회적인 시스템과 매뉴얼에 대한 반성이 대대적으로 일어났고, 각 지역마다 안전재난 시스템을 강화하기 위한 여러 조치들을 취해왔다. 

그러나 여전히 안전불감증에 대한 이야기는 끊이지 않고 있다. 

지난 제266회 도봉구의회 구정질문에서는 초안산 공원 내 매입한 주차장 부지와 월천학교운동장에 쌓여있던 알 수 없는 건설폐기물에 대해 지적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또 얼마전 폭우에는 도봉산 원통사 사면 축대가 붕괴돼 담벼락이 무너지고 종각건물도 옆으로 기울었는가 하면, 개소한지 1년도 안된 노원 원터행복발전소 지하는 비가 새 재공사를 시작하기도 했다. 

지난해에도 비슷한 상황이 발생했으니, 이는 해마다 발생하는 피해라고 하는데 매년 반복되는 자연재해에 대한 대책에 관한 이야기는 아마도 국가가 생긴 이래 늘 해왔던 말이 아닌가 싶다. 

노원구의 경우, 지하철 4호선 진접선 연장을 위한 공사에서 발파작업으로 인한 주민피해와 주민피해에 대한 보상차원문제가 구정질문에서 제기되기도 했다. 

공적인 영역에서건 사적인 영역에서건 안전문제에 대해 대처하는 방식에서 항상 안타깝다.
각 자치구는 안전에 대한 체계를 갖추고 있을 것이고, 보통의 경우 그 최종 책임자를 구청장으로 하는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그러다보니 구에서 만든 안전대책팀이 있는데도, 도봉의 경우 원통사 축대가 붕괴되었을 때 구청에 전화를 했을 때 담당자가 없다는 이야기를 듣고 그 대응이 늦어졌으며, 개인사찰이기에 안전대비 공사에 대한 예산지원도 생각보다 어렵다는 답변을 들었다고 한다. 

또한 진접선 연장공사를 위한 발파작업은 법률적으로 어긋나지 않아 피해보상이 어렵다는 이야기도 들린다. 그래서 결국 피해보상에 대한 명확한 규정 없이 보상이 이뤄져 오히려 주민간의 불신을 키우는 결과를 만들기도 했다. 

재난이라는 것이 누구도 생각하지 못한 일들이다. 그러기에 재난이란 말을 사용하는 것인데 이런 일들 모두를 공공기관이 모두 예측하고 대비한다는 것은 무리다. 

간혹 폭우가 쏟아질 예정이니 계곡에 가지 말라고 했는데도 불구하고 텐트를 쳐놓고 야영하다 고립된 사람들을 구하기 위해 소방관이 목숨을 거는 모습은 우리에게 많은 생각을 하게 한다.

그렇기 때문에 안전이란 것은 공공기관이 가지고 있는 안전체계가 언제든 작동할 수 있도록 준비돼 있어야 함은 물론이고, 개개인의 안전에 대한 의식도 함께 높아져야 한다. 

누가 더 잘해야 하고, 누구의 책임이 더 크고의 문제가 아니라 안전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전환이 필요할 때다. 특히 이상기온이 수시로 나타나는 시기다. 폭우, 폭염, 한설 등 언제 어떻게 재난의 상황이 올지 모른다. 

천재를 막을 수는 없지만 인재는 막을 수 있는 사회가 되길 희망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