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정일보 사설/ 독립유공자 후손은 무엇으로 사는가
시정일보 사설/ 독립유공자 후손은 무엇으로 사는가
  • 시정일보
  • 승인 2017.08.17 11:18
  • 댓글 0

[시정일보]독립유공자의 후손이 건물지기를 하고 있다. 근방 알만한 독립유공자다. 구한말 명문가의 자손, 독립운동을 위해 급히 재산을 팔아서 만주의 독립운동, 또는 학교를 짓는 기금으로 보냈다. 지금으로 따지면 수조원이 넘는 액수다. 그러한 후손이 건물지기로 살고 있는 대한민국이다.

일제의 국권 침탈에 맞서 온몸으로 항거했던 독립투시가 없었다면 오늘의 대한민국은 존재할 수 없다. 일신의 영달과 가족의 안위마저 뒤로한 채 풍찬 노숙하던 독립투사들의 삶은 신산하기만 했다. 시련과 고난은 당대에 그치지 않았다. 제때에 교육을 시키지 못한 후손에게 가난이 대물림됐다. 그래서 독립운동을 하면 3대가 망하고 친일을 하면 3대가 흥한다는 개탄의 소리도 나왔다. 금년은 광복절 72주년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4일 독립유공자와 유족,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와 유족 등을 청와대로 초청했다. 독립유공자 3대까지 합당한 예우를 받도록 하겠다고 했다. 매우 뜻깊은 일이다. 국민들의 반응은 지금까지 역대 대통령의 결심 중 뛰어난 명품 정책이라고 입을 모은다. 특히 청와대 초청에서 위안부 피해자 김복동 할머니와 대통령이 눈높이 대화를 위해 무릎을 꿇는 장면은 신선하기까지 했다.

독립유공자에게 발급된 서훈 1만 4651건 가운데 5469건이 유족에게 전달되지 못해 국가보훈처에서 보관하고 있다는 보도다. 서훈을 발표해 놓고 후손에게 전달하지 못한다면 무슨 소용이 있을까 싶다. 정부가 직접 유족을 찾아 서훈을 전달한 경우가 5년간 287건에 불과하다.

전달의 방법도 등기우편으로 보내는 경우도 밝혀지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러한 사례를 파악하고 성심껏 후손을 찾아서 예우를 하겠다고 다짐한다.
독립유공자 안식장도 국가의 충분한 예우 속에 품격 있게 진행하겠다고 다짐했다. 1만5000명에 이르는 독립유공자 가운데 쉰여덟 분만이 생존해 있다. 한분이라도 살아계실 때 영예로운 활동에 합당한 보답을 하는 것이 국가의 책무다. 이번 광복절 행사에 위안부 할머니 두 분이 초청돼 문재인 대통령 옆에 자리한 것도 뜻깊은 일이다. 위안부로 끌려가 고생한 것은 정부의 책임이다. 정부가 약하고 지켜주지 못한 불행이다. 광복절 72주년 만에 위안부 할머니를 대통령 옆에 앉게 했다는 것은 이례적이지 않을 수 없다.

이제라도 “독립유공자의 후손이 무엇으로 사는가”에 정부가 뜻깊게 접근하는 것은 반가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제대로 된 독립유공자 정책은 국민 통합의 첫걸음이다. 조국을 위해 희생한 이들에 대한 예우와 보상은 그 무엇보다 우선돼야 한다. 

독립운동가 이회영 선생의 기념박물관도 손자인 이종찬 씨가 개인의 기금으로 유지·운영하고 있다. 손자가 어느 정도 위치에 있었기에 이회영 6형제의 독립운동유공자의 뜻이 전해지고 있다. 

정부는 후손의 보상은 물론 유공자들의 발자취가, 국민에게 애국혼이 생생이 전해 질수 있는 방안도 모색해야 한다. 서울역사박물관에서는 이회영 탄신 150주년을 맞아 당대 시대상을 담은 유물 110점을 오는 10월15일까지 전시한다. 이제라도 독립유공자의 후손들이 자부심으로 영예를 갖게 되는 정부가 돼가고 있다는 데 국민은 반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