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정일보 사설/ 고령산모에 대한 정책이 우선이다
시정일보 사설/ 고령산모에 대한 정책이 우선이다
  • 시정일보
  • 승인 2017.12.21 15:51
  • 댓글 0

[시정일보]서울 양천구 이대목동병원에서 1시간 21분 만에 잇따라 신생아 네 명이 사망하는 일이 발생했다. 

이번 사고는 대학병원의 대응하는 자세에 초점을 맞춰 지적을 하고 있다. 문제는 우리 사회의 고령산모가 늘며 미숙아가 100명중 7명꼴로 늘어가고 있다는데도 그 원인을 같이하고 있다. 이대병원에서 숨진 신생아 4명은 모두 미숙아였다. 미숙아는 통상 임신 기간이 37주미만인 조산아를 뜻한다. 지난해 통계를 보면 고령산모의 출산이 늘어나는 것은 앞으로도 같은 문제가 계속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한걸음 들어가 통계를 살피면 지난해 조산아는 2만9390명으로 전체 출산아의 7.2%였다. 이 같은 통계는 점점 늘어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조산아 대다수 체중은 정상치(2.5kg이상)에 못 미친다. 2006년 1만9507명이던 체중 2.5kg 미만 저 체중 출생아는 지난해 2만3829명으로 늘었다. 특히 체중이 1.5kg 미만으로는 반드시 집중 치료를 받아야 한다. 극소저체중 출생아는 2006년 1883명에서 지난해 2783명으로 47.8%나 늘었다. 같은 기간 전체 출생아는 44만8153명에서 40만6242명으로 4만명 이상 감소하는 등 저출산이 심각한데도 도리어 저체중 출생아는 증가 하였다. 

전문가들은 미숙아가 늘어나는 것은 산모의 출산이 늦어지고 있는 현상과 연관이 있다고 보고 있다. 대한신생아학회는 2월 건강심사평가원의 의뢰로 발간하는 보고서를 통해 산모의 고령화, 불임증가로 인한 인공임신의 증가로 저체중 출생아, 특히 극소저체중 출생아가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결혼과 임신이 늦어지면서 산모의 평균 출산 연령은 2006년 30.4세에서 지난해 32.4세로 2년이 늦춰졌다. 같은 기간 의학적으로 고위험 산모로 분류되는 35세 이상 산모비율도 11.8%에서 26.4%로 크게 늘었다. 

이 같은 현상은 앞으로도 계속되는 통계로 보아야 한다. 물론 병원의 대안도 병행돼야 하는 것이 현실이다. 아울러 고령산모에 대한 관계기관 간의 교육과 홍보도 병행돼야 한다. 

아무리 현대 의학이 발달되고 산모의 건강이 좋다고 하지만 인간의 순리적인 나이출산은 우리가 도외 시할 수 없다. 고령산모의 대책보다는 고령산모가 되기 전에 출산 장려의 선결도 중요함을 인식시킴이 더 필요하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다태아 62%가 임신기간 37주 미만에 태어났고, 57.8%가 저체중이었다. 이번 목동 이대병원에서 숨진 미숙아에 대한 병원의 안이한 처신도 문제가 되고 있지만, 관계기관도 병원에만 문제를 물을 것이 못된다. 책임 문제를 병원에만 묻는 다면 병원은 고령산모의 미숙아에 대한 기피현상이 나오게 된다. 폭넓은 정책으로 결혼 적령기의 대한 현실적인 정책지원은 필연이 된다. 물론 임산부의 천국이 될 수 있는 경제적인 뒷받침도 필요하다. 이미 출산한 아이의 지원보다는 출산 전으로 올라가 젊은 산모에 대한 정책으로 올라서야한다.

숨진 아이의 감염경로를 밝힌다고 해도 의미가 없다. 산모에 대한 경제지원 정책이 앞선다면 건강한 산모는 물론, 튼튼한 신생아가 탄생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