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포털 댓글 제도 개선할 근본적인 특단의 대책 마련해야
사설/ 포털 댓글 제도 개선할 근본적인 특단의 대책 마련해야
  • 시정일보
  • 승인 2018.04.26 15:12
  • 댓글 0

[시정일보]인터넷 댓글 여론조작 사건이 일파만파로 번지면서 포털의 뉴스 댓글 정책이 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포털 사업자들은 댓글 개수 제한 같은 제도를 운용하고 있지만 이번 드루킹 사건처럼 더욱 진화한 조작 수법에는 별 실효성이 없음이 입증됐다. 이는 현행 포털 운영 시스템에서 뉴스 댓글을 통한 여론조작이 언제든지 재발할 수 있다는 반증이 아닌가 싶다.

작금에 누리꾼들 사이에는 댓글자체를 기사 못지않게 많이 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제목만 보고 기사는 읽지 않은 채 곧바로 댓글의 창으로 이동하는 누리꾼들도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포털 사업자는 온라인 방문자가 자사 포털 사이트에 오래 머물면서 클릭 수를 높일수록 금전적인 이득을 보게 되며 댓글 수와 공감 수 등을 노출시킨 것도 이런 장삿속의 일환이 아닌가 싶다.

현재 네이버는 순공감 순으로, 다음은 추천 순으로 댓글을 보여주고 있어 포털 사업자가 의도했건 안했건 간에 포털의 뉴스 유통 방식은 여론조작을 할 수 있도록 해 놓은 것이나 다름없다.

무엇보다 댓글이 가짜뉴스를 순식간에 확산시킬 수 있는 경로역할을 할 수도 있다는 데 그 심각성이 있다. 물론 댓글은 표현의 자유에 해당하기도 하지만 작금처럼 심각하게 부작용이 드러난 이상 더 이상 이대로 방치할 수는 없으며 포털의 뉴스 유통 방식 자체의 획기적인 개선이 급선무라 생각된다.

물론 국내 대형포털 네이버 등은 댓글정책을 수시로 바꾸고 있기는 하지만 실제로 인기 순위별로 보여줘 어쩜 경쟁을 부추키고 있는 실정이 아닌가 싶다.

반면 구글은 기사를 클릭하면 우리처럼 인링크 유통방식이 아닌 뉴스를 생산한 언론사로 바로 연결되는 아웃링크 유통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포털 사이트에서 댓글로 여론을 조작하는 행위를 원천 차단하고 있다. 만약 기사를 읽고 댓글을 달고 싶으면 해당 언론사 사이트에서 바로 달면 되도록 되어 있는 셈이다. 또한 뉴욕타임스는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활용해 악성 댓글을 자동으로 삭제하고 독자들의 우수의견을 보여주는 난을 따로 개설해 운용하고 있다.

이번 민주당원 댓글 조작에서처럼 간단한 컴퓨터 프로그램만으로도 익명을 가장한 여론 조작이 얼마든지 가능하다는 게 현실이며 인터넷 실명제와 같은 포지티브 방식으로의 전환이 요구되는 시점이 아닌가 싶다. 권한만 누리고 책임이 없는 작금과 같은 댓글 문화로는 더 이상 안 된다고 생각된다.

차제에 포털들은 기술적 대응에 앞서 댓글 운용방식의 투명성과 책임성을 강화해 악성댓글이 익명의 그늘 속에서 독버섯처럼 창궐하는 무분별한 댓글 문화를 반드시 개선, 여론의 거울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있도록 근본적인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