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서울’, 빅데이터 인프라 조성
‘스마트 서울’, 빅데이터 인프라 조성
  • 문명혜
  • 승인 2019.11.07 10:48
  • 댓글 0

방대한 공공데이터 한 곳에 모으는 ‘통합저장소’ 2021년까지 구축

[시정일보 문명혜 기자] ‘스마트 서울’을 지향하고 있는 서울시가 요즘 빅데이터 인프라 혁신을 예고하고 있다.

시가 보유한 방대한 양의 공공데이터를 한 곳에 저장하는 ‘빅데이터 통합저장소’를 2021년까지 구축하기로 하면서다.

여기엔 올해 109억원을 시작으로 3년간 총 289억원을 투입한다.

시가 계획하는 ‘빅데이터 통합저장소’는 ‘21세기 원유’로 불리는 빅데이터를 행정, 산업, 도시문제 해결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하기 위한, 인프라 구축의 첫 단계다.

‘빅데이터 통합저장소’에선 교통ㆍ시설ㆍ복지 등 서울시가 보유하고 있는 518종 시스템의 행정데이터와 IoT(사물인터넷)에서 수집한 ‘도시데이터’를 저장하고 분석ㆍ처리한다.

총 데이터 용량은 약 4페타바이트(Peta Bate)로, 1GB(기가바이트) 용량의 영화 400만편과 맞먹는 방대한 규모다.

지금까지 기관ㆍ부서별로 분산 처리되고 있는 모든 공공데이터 수집ㆍ관리를 일원화해 활용도 높은 양질의 공공데이터로 생산ㆍ활용ㆍ개방한다는 목표다.

통합저장소에 수집된 모든 공공데이터는 교통, 안전 등 각종 서울시 정책과 시민체감도 높은 공공서비스 개발을 위한 과학적 자료로 쓰인다.

일례로 한옥 등 건축물 정보와 의료기관ㆍ소방시설ㆍ구급차 정보 등 데이터를 융합해 다양한 변수가 존재하는 화재나 응급구조 준비에 활용할 수 있다.

행정 뿐 아니라 기업과 시민도 활용할 수 있도록 열린데이터광장, 빅데이터캠퍼스, 디지털시민시장실 등을 통해 개방한다.

특히 민관공동 빅데이터 협력으로 제작하고 있는 융복합 데이터는 디지털 산업의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데이터 경제를 활성화 할 것으로 기대된다.

예를들어 공공의 지하철ㆍ버스 이용정보, 부동산 정보와 민간의 통신사 유동인구, 점포매출 데이터 등을 결합해 서울시내 상권별로 발달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상권발달지수’를 개발할 수 있다.

이 지수를 향후 소상공인을 위한 금융지원이나 우대서비스 제공시 지표로 활용해 소상공인을 지원하고 서민경제 활성화도 기대해 볼 수 있다.

서울시 ‘빅데이터 통합저장소’는 ‘스마트 서울 네트워크’, ‘도시데이터 센서’와 함께 스마트시티 서울을 이끌어갈 주요 3대 인프라 축으로 추진된다.

시는 4차 산업혁명을 도시행정에 접목하는 ‘스마트시티’ 실현을 위해 ‘스마트 서울 네트워크’와 ‘도시데이터 센서’를 구축하는 하드웨어 인프라 확충도 추진하고 있다.

스마트시티 발달과 함께 교통ㆍ안전 등 대량의 도시데이터가 발생하면서 데이터 수집ㆍ유통ㆍ활용 정책이 요구되고, 민ㆍ관의 활발한 스마트서비스 개발로 인한 데이터량 폭증에 선제적으로 대비한다는 취지다.

계획대로 진행되면 시민 수요에 맞는 최적의 정책을 수립하는 스마트 행정을 실현하고, 양질의 공공데이터를 민간과 함께 공유 활용함으로써 데이터 산업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원목 서울시 스마트도시정책관은 “데이터 기반의 ‘스마트 서울’ 실현과 데이터 경제 활성화를 위해 빅데이터 통합저장소를 통한 공공데이터 관리 일원화를 추진한다”면서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행정내부 혁신만이 아닌 민간 부분의 창업과 데이터 산업 활성화 등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본다”고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