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 기후 변화와 대형화 산불, 제도적 대응책 마련 필요
사설 / 기후 변화와 대형화 산불, 제도적 대응책 마련 필요
  • 시정일보
  • 승인 2022.03.10 11:00
  • 댓글 0

[시정일보] 경북 울진에서 지난 4일 발생한 산불에 손실이 컸다. 불길의 참화를 보는 국민의 마음은 안타깝다. 우리나라의 산업 전반이 발전을 거듭하고 있지만, 산불과 같은 대형 화재를 보면서 우리의 안전에 대한 장치가 너무나 허술하지 않나 싶다.

2008년 숭례문 화재를 보면서 국민은 큰 충격을 받았다. 문화재로 자랑스러운 숭례문이 흔적도 없이 화마에 할퀸 것이 아쉬웠다. 그것도 방화라는 것이 더한 충격을 주었다. 이번 울진에서 강원 삼척까지 덮친 산불도 다르지 않다. 방화라는 점이 공통점을 갖는다. 삼척의 현장, 취재진 보도를 접하는 국민은 빨리 불길이 잡히길 바란다. 이미 여의도 면적의 53배가량인 1만5420ha의 산림을 태웠다. 주택 등 시설 400여곳도 소실되었다. 한때는 울진 원전과 LNG 생산기지까지 위협했다. 천만다행으로 인명 피해는 없었지만, 주민 7000여명이 긴급 대피했다. 소방 당국은 인력과 헬기 등을 총동원해 진화에 나섰지만, 주불을 잡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산불은 50년 만에 최악이라는 겨울 가뭄과 강풍이 겹치면서 세력이 커졌다.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해 12월이후 전국 강우량은 13.3mm로 평년 14%에 불과했다. 건조한 날씨 탓에 바짝 마른 나무와 낙엽이 불쏘시개가 되었다. 동해안 산불은 이례적인 것도 아니다.

이번 기회에 우리의 산림에 대한 인식을 달리해야 한다. 도심에 수많은 CCTV가 설치돼 시민의 안전을 도모하듯 산림에도 이와 같은 안전망이 제도화돼야 한다. 다양한 인성으로 멀쩡하게 보이는 사람이 뜻하지 않는 문제를 일으키는 현실이다. 이와 같은 일은 우리나라의 문제가 아니다. 세계적인 문제로 떠오른 지 오래다. 우리나라는 산림이 70%인 나라다. 활발한 녹화로 울창한 산림을 가졌다. 여기에 대비한 인력과 재원을 투입해 제도적으로 재화를 방지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번 산불로 인한 산림 피해면적은 역대 최대였던 2000년 삼척 등 5개 지역의 동해안 산불 이후 22년 만에 두 번째로 큰 화마다.

동해안의 산불은 일부 인재로 밝혀지고 있지만, 대형화로 번진 것은 기후 변화위기와도 떼어 놓을 수 없다. 산림청의 집계는 올해 전국에서 발생한 산불이 236건으로 예년 동기 대비 2.4배나 늘었다. 미국의 캘리포니아에서 일어난 화재, 호주의 산불도 같은 현상이다.

정부는 울진 삼척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했다. 2000년, 2005년, 2019년에 이어 네 번째다. 정부는 피해 주민과 복구에 만전을 기한다는 발표를 했다. 여기에 산불의 상시 대비책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사전 대비, 예방이 사후 복구로 인한 경제적인 손실보다 덜 하기 때문이다. 산불의 규모가 커지고 동시에 일어나는 현상까지도 계획을 만들어 제도적 장치를 해야 한다. 산불은 초기 진화도 중요하지만, 사전의 예방이 최선이다. 지방 자체별로 인력을 충원하고 상시 감시 장치를 만들어 가는 것이 최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