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 대학의 논문 표절, 제도적 장치 마련 필요
사설 / 대학의 논문 표절, 제도적 장치 마련 필요
  • 시정일보
  • 승인 2022.06.30 15:10
  • 댓글 0

[시정일보] 서울대 AI 연구팀의 민낯이 드러났다. 10개의 논문을 베껴 세계 유수 학회에 제출했다.

표절의 방법도 서울대학이 갖는 위상에 맞지 않는 결과물이다. 10개가 넘는 논문이 여과도 없이 그대로 베꼈다는 것이다. 대학의 교수 논문이 표절, 또는 자녀와 공동저자로 논문에 지적을 받아왔다. 그러한 문제들이 수습되거나 근절이 되는 것으로 기대를 했다.

하지만 그러한 문제들이 잊힐라치면 상상을 초월하게 다시금 지적된다.

상황을 들여다보면 영상 속에 움직이는 물체나 빛에 관한 정보를 기존 기술보다 빠르게 인식하는 방법을 다룬 논문이다. 서울대 박사과정에 있는 김 모 씨가 제1 저자를 맡았고, 윤 모 교수는 교신 저자로 이름을 올렸다. 교신 저자는 논문 내용에 대한 학계의 질의에 답변해주거나, 연락을 담당하는 대표성을 띤 자를 일컫는다. 윤 교수는 지난 5월까지 장관급인 4차 혁명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다. 표절 전 이 논문은 뛰어난 연구로 주목을 받았다. 올해 CVPR에서는 전체 논문 발표 논문 중 우수한 4%만 구두발표 논문으로 선정하는데, 윤 교수팀 논문이 여기에 뽑혔다. 표절 의혹이 제기된 것은 24일, 유튜브에 영상이 올라오면서 알려지게 됐다.

게시자 미상의 이 영상은 윤 교수팀의 논문이 10편 이상, 다른 논문에서 논문을 그대로 가져왔다는 사실을 그래픽 형태로 보여줬다. 표절대상이 된 논문은 2018년 미국 캘리포니아대, 2020년 프랑스 소르본대, 2021년 KAIST, 2021년 영국 옥스퍼드대 연구진이 발표한 논문 등이다. 문제의 논문은 어느 논문에서 인용했다고 적시한 경우도 있지만, 다섯 단어 이상으로 구성된 문장 자체를 똑같이 베낀 행위는 명백한 표절이다.

윤 교수팀은 표절을 시인하면서도 1 저자에게 책임을 돌리고 있다. 윤 교수는 책임을 회피하지 않겠다고 하면서도 1 저자 단독 행동이라고 해명하고 있다. 여러 공저자가 함께 논문을 만들어 1 저자에게 보냈는데, 해당 학생이 보내준 논문 대신 임의로 다른 논문을 베껴 넣었다는 주장이다. 공저자들도 표절을 시인하면서도 표절 사실을 몰랐다고 했다.

학계에서는 꼬리 자르기라는 비판이 나온다. 표절 문제가 된 사실도 문제가 크지만, 수습하는 과장에서 다른 거짓을 말하면 2차 거짓으로 오해는 커지고 수습은 뒤틀리게 된다.

남범석 성균관대 소프트웨어학과 교수는 개인 SNS를 통해 “CVPR을 비롯한 AI 학회들은 한 해 2000편이 넘는 논문을 뽑아낸다”며 “매일 5~6편씩 읽어야 하는 양인데, 실제로 읽고 검증하는 게 가능할 리가 없다”고 했다. 공장식 연구실을 지적한 것이다. 인공지능 분야처럼 학생 수요는 높은 데 비해 교수가 부족한 연구 분야는 한 교수가 많은 학생을 지도하며 발생하는 문제로 지적을 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고의적이든 불찰이든, 제도상에 문제가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 알고 있는 문제라면 차제에 드러내 놓고 개선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 소위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서울대학에서 제도상의 문제를 안고 여기까지 왔다는 것, 자체도 문제다.

인사권자 재가없는 인사 발표, 과연 있을 수 있는 일인가

행안부 경찰제도개선자문위원회가 경찰 통제를 강화하는 권고안을 내 경찰이 반발하던 날 오비이락 격으로 대통령 재가도 나기 전에 경찰이 인사안을 미리 발표해 혼선을 빚은 초유의 사태가 발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