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 고령화 사회, 문인단체의 역할
사설 / 고령화 사회, 문인단체의 역할
  • 시정일보
  • 승인 2022.10.20 17:00
  • 댓글 0

[시정일보] 한국은 초고령화의 시대에 들어 선지 20년이 넘어섰다. 문인단체는 고령화 진입에 따른 준비를 하고 있는가 질문을 하게 한다. 고령화에 대한 문인단체의 문제가 하나씩 현실화되고 있다. 일례로 고령화된 문인의 회비문제다. 몇몇 단체는 70세가 넘은 문인에게 회비감면을 하기도 한다. 어느 단체는 이런저런 사정을 두지 않고 회비를 내지 않는 문인의 진입을 막아버린다. 회비를 내지 않으면 단체의 운영이 어렵다는 이유로 투표권에 문을 닫고 규정을 정비한다. 자본주의 사회의 일면일 수도 있다.

고령화된 문인에 대한 문제를 정책적인 면에서 먼저 살피는 것이 필요하다는 여론도 있다. 회비문제를 가지고 문인의 진입에 선을 긋는다는 것은 남북의 갈라진 비극보다 더 처절하다는 여론이다. 문인단체를 비롯한 관련 단체에서 문인의 고령화에 따른 정책 입안 요청과 여론을 형성한 사례는 없었다. 문인단체가 할 일은 정부에 요구할 사항을 논의하는 공청회를 열고, 고령화 진입에 따른 대책팀을 만들어 제반 준비와 대안 수립을 하는 것이다.

정부가 병원과 노인의 복지문제에 중심을 둔다면 그것은 당연한 현실이며 복지국가의 면모다.

정부가 해야 할 일과 문인단체를 비롯한 민간단체가 해야 할 일은 결이 다르다. 문인단체의 역할은 정부가 미처 챙기지 못한 부분에 문인단체가 공동으로 정부에 정책을 건의, 수립하는 것이다. 그것은 진일보한 문인단체의 나아갈 길일 것이다.

예술원은 필요 이상의 예우를 받고 있다는 여론이 오래 전부터 팽배했다. 예술원은 교수 또는 안정적인 직책을 가진 자들이다. 퇴직해도 삶에 지장을 받지 않는 경제적인 여건의 사람들이다. 그러함에도 그들은 평생 경제적인 지원을 받고 있다. 문인단체의 귀족화라는 지적을 받는다. SBS와 격월간 문예지 악스트가 그에 대해 심층 지적한 바 있다.

오래된 관행의 정비는 돌아볼 필요가 있다.

노인에 관한한 우리나라는 두 가지 부분에서 OECD 국가 중 1위다. 불행히도 하나는 치명적인 노인자살률이고 다른 하나는 노인빈곤율이다.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2019 자살 예방백서’를 보면 노인자살률은 58.6명으로 OECD 회원국 평균(18.8명)의 무려 3배가 넘는 1위로 나타났다.

한국도 이제는 경제적인 측면에서 문인에 대한 예우가 필요하다. 빈곤에 내몰린 문인에게 문인마을을 만들어 안착할 수 있도록 기회를 주는 것도 필요하다. 예술지원센터에서 전세자금을 대출해주는 제도가 있다. 그 벽은 높다. 현실화가 시급하다. 작가의 출판지원도 형식에 치우친 면이 있다. 시작에 만족하기는 어렵지만 좀 더 세심하고 과감한 정책으로 나아가야 한다.

영화계는 세계화로 나아가고 있다. 영화계는 대기업의 정책 지원을 받는가 하면 펀드형식의 자본을 받기도 한다. 문인단체도 구식의 틀을 벗어나 정책 입안에 필요한 연구부서도 만들고 외국의 사례도 분석하는 진일보한 대안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