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장 전용 앱' 활용, 업무효율ㆍ예산 절감
[시정일보 신일영 기자] 공무원의 출장 절차가 대폭 간소화되고 업무효율성이 높아질 전망이다.
인사혁신처(처장 김승호)는 내년부터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복무 관리 시스템’을 시범 운영하고 2025년까지 전 중앙행정기관이 본격 시행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한다고 밝혔다.
이 시스템은 인공지능 자동화를 기반으로 출장 업무처리 단계를 7단계에서 3단계로 줄여 업무처리를 간편화한다. 현재 출장자는 출장 신청ㆍ결재 후 증빙자료로 정산신청을 하고, 지출담당자는 제출된 자료로 디지털예산회계시스템(dBrain)에 정산 내역을 수기로 입력 후 지급해야 했다. 하지만 앞으로는 출장자가 출장 신청부터 정산신청까지 원스톱으로 처리할 수 있고, 지출담당자는 지급만 하면 된다. 인사처는 출장 관리에 드는 업무개선 효과를 시간당 금액으로 계산하면 연간 약 85억원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와 함께 결제ㆍ취소 내역을 자동 전송하도록 기능화해 출장비 오지급 등 사후 행정처리에 소요되는 시간도 대폭 줄어든다. 특히 기차, 버스 등의 영수증을 인쇄 없이 자동으로 연계하는 종이 없는 출장 정산은 친환경 기여는 물론, 연간 약 1억원의 예산 절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모바일공무원증에 출ㆍ퇴근 지정ㆍ관리기능을 추가하고, 챗봇 서비스로 복무 형태별 맞춤형 알림도 제공해 언제 어디서든 유연하고 효율적인 복무관리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이정민 기획조정관은 “일하는 방식 혁신을 통해 공무원이 업무에만 집중하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일환”이라며 “국가공무원 전자인사관리시스템 고도화 등 ‘인사행정 전 과정의 디지털 전환’을 통해 디지털기반정부를 실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출장 예약ㆍ관리 서비스는 국토교통부 저연차 공무원들이 기존 출장ㆍ정산 과정에서의 불필요한 시간 낭비 등에 대한 문제 제기와 혁신 아이디어 제안으로 시작됐다. 인사처는 올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가 주관하는 ‘디지털공공서비스 혁신프로젝트 공모사업’에 지원, 선정됨으로써 본격적으로 이번 서비스를 구축하게 됐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