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려진 쓰레기의 일생
버려진 쓰레기의 일생
  • 임지원 기자
  • 승인 2009.09.22 10:41
  • 댓글 0

버려지는 순간, 쓰레기가 된다. 한 번 읽고 난 신문지, 여러 겹 쌓인 라면 포장지, 음료수가 담겼던 캔. 생활의 편리함을 위해 우리는 여러 가지 제품을 소비하고, 버린다. 이런 쓰레기들은 지역 혹은 주택 형태마다 차이가 있겠지만 일주일에 한 두 번씩 재활용 기준에 따라 분리 배출된다.

‘녹색성장’이 대세를 이루면서 환경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도 높아진 지금, 이런 잠깐의 수고로 환경보호에 동참할 수 있다는 위안을 얻으며 내 손을 떠난 쓰레기에 대한 관심을 접는다.

우리가 버린 쓰레기는 일부는 매립되고, 일부는 소각돼 자취를 감추고, 나머지 일부는 재활용을 통해 다시 우리 곁으로 돌아오게 된다. 환경부가 발표한 <폐기물에너지화종합대책(2008.5)>에 따르면, 각 도시에서 쏟아져 나온 쓰레기들은 재활용 83.6%, 매립 8.0%, 소각 5.4%, 해양배출 3.0%의 비율로 처리되고 있다. 소각, 매립 등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따져볼 때 재활용 또는 재사용의 확대가 필수적이다.

해저 로저스는 그의 저서 <사라진 내일>에서 “버려진 물자는 반드시 버려져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며 쓰레기의 발생과 처리 전 과정에 있어 개인이 아닌 국가 차원에서 관리돼야 한다고 말한다. 여기에 재활용 확대를 위한 지자체의 노력을 눈여겨 볼만하다. 용산구 재활용선별판매장인 ‘더 좋은 세상’이 대표적 사례다.

‘더 좋은 세상’은 사회복지법인과 기업, 지자체가 뭉쳐 지역 연계형으로 운영하는 재활용 처리시설이다. 지금까지 ‘더 좋은 세상’은 사회적 기업으로써 취업 취약 계층에 대한 일자리 창출로서의 기능만 부각돼 왔다. 이에 대해 전안수 용산구 기획예산과장은 “그동안 각 동에서 발생하는 재활용품을 적환장으로 수집, 운반해 인천으로 수송돼 버려졌으나 ‘더 좋은 세상’을 통해 하루 30톤의 쓰레기를 재활용할 수 있다”면서 ‘더 좋은 세상’이 녹색성장의 기치에도 부합하는 기업임을 강조했다.

‘녹색 패권’을 잡기 위한 전 세계적인 노력이 집중되는 가운데 쓰레기 관리는 매력적인 소재다. 물론 쓰레기 발생을 줄이는 것이 우선이겠지만, 이미 발생된 쓰레기를 처리하는 과정에 있어 ‘더 좋은 세상’은 지자체가 주축이 돼 지역발전과 함께 쓰레기 최소화를 추구하는 ‘녹색성장’의 시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