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 동계오륜 유치, 정부 적극적 지원 우선
평창 동계오륜 유치, 정부 적극적 지원 우선
  • 한성혜 기자
  • 승인 2009.10.07 21:55
  • 댓글 0

추석날 아침 IOC총회가 열리고 있는 덴마크 코펜하겐으로부터 2016년 하계올림픽 개최지가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로 결정됐다는 소식을 접했다. 평창으로선 한 고비를 넘긴 셈이다. 유치가 유력했던 도쿄가 고배를 마셨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리우가 개최지로 선정되면서 하계올림픽이 대륙별 순환개최 원칙이 지켜졌다는 것이다. 원칙대로라면 2018 동계올림픽 개최지는 아시아권 차례이다.

강원도는 지난달 평창동계올림픽 유치위원회 출범과 범도민후원회 결성을 다지면서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를 위한 대장정에 올랐다.
지난 2010, 2014년 유치실패를 거울삼아 2018년은 꼭 유치해야한다는 결의에 차 있다. 그도 그럴 것이 강원도의 입장에선 사활이 걸린 마지막 승부인데다 두 차례의 도전을 통해 인프라 및 개최운영에 대한 역량 등이 업그레이드돼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중요한 건 왜 실패 했는가다. 대ㆍ내외적 요인이 있겠지만 미약한 시스템 운용과 조직 간의 유기적인 공조체제가 미흡했다는게 압도적이다.

그래서 이번에는 유치위원장도 강원도지사와 한진그룹 회장의 투톱체제로 시스템을 강화하면서 정부에서도 국가어젠다로 삼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이명박 대통령도 손수 발로 뛰는 유치 외교를 펼치겠다고 공표했다.
그러나 돌이켜보면 또 다른 실패요인으로 지자체간의 국제대회 유치를 위한 과열경쟁을 들 수 있다. 특히 2014년 유치 때는 인천 아세안게임 등 몇몇 자치단체의 성공적인 국제대회 유치를 두고 외국의 스포츠계에서는 “한국은 이해하지 못할 정도로 욕심이 많은 나라”라는 비판이 나올 정도로 부정적인 시관을 안겨줬다.
이번 2018년 유치에도 부산의 2020년 하계올림픽 유치선언, 2022년 월드컵축구 유치 등으로 자칫하면 자치단체들끼리 자중지란에 빠질 우려가 있다.

지난 5일 있은 국감에서도 지자체간 무분별한 국제대회 유치경쟁이 문제가 된다며 정부가 정리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의견이 나왔다.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1988년 캘거리는 3수 끝에 꿈을 이루었으며, 1980년 개최지였던 레이크플래시드는 무려 5수만에 동계올림픽을 유치했다.
평창동계올림픽유치는 강원도에 있어 가장 비중이 큰 과업이다. 전 국민의 염원이 2011년 남아프리카공화국 더반에서 관철되는 날 강원도가 안은 과제는 비로소 마침표를 찍게 될 수 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