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위기 이전보다 소비 확대, 평균 소비성향은 하락
외환위기 이전보다 소비 확대, 평균 소비성향은 하락
  • 시정일보
  • 승인 2011.08.18 13:04
  • 댓글 0

SDI정책리포트/서울시 가계의 소비구조 분석

교육비·통신비 등 서비스 지출 크게 증가
가구주 나이·소득수준 따라 소비특성 달라

소비의 서비스화 고려 유망 서비스산업 육성
가구 속성별 소비패턴 고려 ‘맞춤복지’서비스

[시정일보]2008년 서울시 가계의 4대 지출비목은 식료품, 기타소비, 교육, 교통 등이며, 이들의 지출비중은 66.1%에 달한다. 식료품 지출비용은 25.6%로 1위이자만 그 비중은 1990년 대비 6.0%p 축소됐다. 반면 교육은 13.1%로 1990년 대비 4.1%p 증가해 가장 크게 확대됐고, 통신의 순위는 1990년 11위에 불과했으나 2008년에는 5위로 크게 상승했다. 2008년 서울지역 가계지출의 서비스화 수준은 38.9%로 1990년 대비 11.0%p 확대됐으나 주로 통신, 교육, 교통 등이 주도했다.

Ⅰ. 서울시 가계의 소비구조와 주요 특성

서울지역 가계의 가구당 월평균 실질소비지출액은 1990~1997년 중 187만원에서 2000~2008년 중 220만원으로 약 1.2배 확대됐으나, 실질소비지출액의 연평균 증가율은 1990~1997년 6.4%에서 2000~2008년 중 0.5%로 둔화됐다.
2008년 서울시 가계의 비목별 소비지출 비중은 식료품(25.6%), 기타소비지출(17.6%), 교육(13.1%), 교통(9.9%), 통신(5.6%), 보건의료(5.4%) 등의 순으로 식료품의 경우 1990년 이래 부동의 1위 지출비목이지만, 그 비중은 1990년에 비해 6.0%p 축소됐다. 이밖에 피복 및 신발(-2.4%p), 주거(-1.1%p), 가구집기(-1.1%p) 등도 1990년 대비 비중이 축소됐으며 특히 피복 및 신발은 1990년에 지출비중 순위가 4위로 높았으나, 2008년에는 7위로 하락했다.

교육은 1990년과 2008년 모두 지출비중 순위 3위로 동일했지만, 그 비중이 1990년 대비 4.1%p 증가로 가장 큰 폭으로 확대됐고, 통신과 교통, 의료보건 등도 지출비중의 순위와 크기가 모두 상승했다. 특히 통신의 경우 지출비중 순위가 1990년 11위에서 2008년 5위로 크게 상승했고, 그 크기도 1990년 대비 3.8%p 확대됐다.

2008년 서울지역 가계의 소비지출 중 교육, 의료보건, 교양오락 등 서비스지출 비중은 38.9%로 1990년 대비 11.0%p 확대됐다.
가계 서비스지출 비중이 1990~1997년 중 30.6%에서 2000~2008년 중 38.3%로 확대되는데 있어 통신, 교육, 교통 등의 비목이 각각 53.3%, 30.1%, 19.0% 기여했다. 반면, 의료보건과 교양오락은 다른 서비스 관련 비목과 달리 기여율이 -1.5%, -0.9%로 부진했다. 그러나 같은 서비스지출이라도 교육, 교통, 통신 등의 소득탄력성은 차별적이었다.
통신의 소득탄력성은 2000~2008년 중 0.476으로 식료품(0.562) 등과 같이 필수재의 성격이 뚜렸했고, 교통, 의료보건의 소득탄력성도 2000~2008년 중 각각 0.936, 0.805로 통신보다는 약하지만 필수재적 성격을 어느 정도 보유하고 있다.

반면, 교양오락의 소득탄력성은 2000~2008년 중 1.253으로 준선택재적 성격을 지니고 있어 향후 소득증대가 뒷받침될 경우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수요가 늘어날 가능성을 보였다.
이에 비해 교육의 소득탄력성은 2000~2008년 중 1.331로 나타나 선택재적 성격이 뚜렷했다.
20대 이하 가구주 가계의 경우 트렌드에 민감하고 여가를 중시하는 젊은 가구주의 가치관을 반영해 연령대와 달리 교양오락 비목의 소비비중(8.0%)이 3대 소비비목에 포함됐다. 또 전가구와 비교한 소비구조도 주로 교양오락과 통신, 피복 및 신발, 가구집기 등에 특화됐다.
30~50대 가구주 가계의 3대 소비비목은 모두 식료품, 교육, 교통이지만, 40대 가구주 가계의 경우 주로 교육에집중된 형태를 보였다.

2008년 40대 가구주 가계의 평균소비성향은 83.4%로 가장 높지만, 교육지출 비중이 23.3%로 전가구 평균을 10.2%p나 상회하는 반면, 다른 서비스관련 지출비중은 모두 전가구 평균을 하회했다.
60대 이상 가구주 가계의 3대 소비비목은 식료품, 의료보건, 교통 등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 및 의료복지 수요를 반영했다. 한편 가구주 연령별 가계소비 규모는 40대가 가장 크고, 50대, 30대, 60대 이상, 20대 이하 순으로 나타났다.

가구유형별 소비구조를 보면, 노인가구의 소비구조는 주로 식료품, 의료보건 등에 집중된 형태로 특히 2008년 식료품 소비비중이 31.1%에 달할 정도로 엥겔계수가 매우 높고 의료보건 비중도 15.4%에 달했다.
모자가구의 소비구조는 2008년 교육비중이 25.8%로 식료품 비중을 상회할 정도다.
가구유형별 소비수준은 맞벌이가구, 일반가구, 모자가구, 노인가구 순으로, 2008년 맞벌이가구의 월평균 명목 소비지출액은 전가구 평균의 1.2배 수준인 반면 노인가구의 명목 소비지출액은 60.3%에 불과했다.
소득계층별 소비구조를 보면,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식료품, 주거, 광열수도 등 기초생계유지를 위한 비목의 비중이 높으며, 교육비 지출은 다소 낮은 편이었다. 반면, 소득수준이 높아질수록 교육, 교통, 교양오락의 지출비중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2008년 저소득층 소비수준은 전가구 평균의 58.4%에 불과한 반면, 고소득층은 1.59배에 달해 소비에 있어 사회적 위화감 조성이 우려되나, 소비불균형 정도가 아직 심각한 수준은 아닌 것으로 판단됐다. 단 2003년 이후 전반적으로 소비불균형 수준이 높아지고 있어 이에 대한 선제적 대비는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Ⅱ. 정책적 시사점

서울의 민간소비 규모는 2009년 152.1조원으로 2000년 대비 1.8배 확대됐고 서울의 1인당 개인소득 대비 1인당 민간소비지출액 수준도 0.96으로 경기도(0.96)와 더불어 전국 16개 시도중 최고수준을 보였다.
이에 따라 소비증진을 통해 시민의 후생을 증진시키는 동시에 서울경제의 성장활력도 제고하는 정책적 대응이 필요하다.

주요정책목표는 크게 △소비의 서비스화를 고려한 유망 서비스산업 육성 △가구 속성별 소비패턴을 고려한 맞춤형 복지서비스 구현의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소비의 서비스화를 고려한 유망 서비스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고령화 추세, 성인병 및 암 등의 발병률 증가 등에 따른 건강에 대한 관심증대로 향후 수요확대가 예상되는 의료보건 산업을 적극 육성해야 한다. 특히 의료서비스의 패러다임 변화, U-IT 기술의 발전 등을 고려할 때, U-헬스케어산업을 조기에 육성해 산업화할 필요가 있다.

또 학원 등 오프라인 위주의 교육산업에서 탈피해 유아, 학생, 직장인, 노인 등 생애별 온라인 교육서비스(e-learning) 및 교육콘텐츠 산업을 적극 육성하고, 이들 산업을 출판, 미디어콘텐츠 등의 연관산업과 유기적으로 연계할 필요가 있다.

이와 함께 향후 소득증가와 여가에 대한 니즈 증대를 감안해 문화콘텐츠, 스포츠 등의 레저산업을 적극 육성하되, 다양한 소비층을 염두에 둔 서비스를 개발해야 한다.

‘가구 속성별 소비패턴을 고려한 맞춤형 복지서비스 구현’을 위해 저소득 노인가구를 대상으로 한 정기건강검진, 원외약제비 지원, 간병 지원 등 의료보건 복지서비스를 확대하고, 모자가구를 포함한 여성가구주 가구는 교육 및 보육서비스 확대를 통해 가계의 안정성을 제고해야 한다.
-김범식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연구위원-


가구주 40대 남성, 높은 교육수준
가계 소득수준 기타지역 보다 높아

■ 서울시 가구의 기본 특성

2008년 현재 서울지역 가구의 가구주는 79.9%가 남성이며, 여성가구주 비중은 20.1% 수준이다. 기타지역의 남성가구수 비중도 80.8%로 서울과 유사하다.
서울지역의 여성가구수 비중은 1990~1997년 중 12.3%에서 2000~2008년 중 18.9%로 6.6%p 확대됐다. 반면, 같은 기간 중 기타지역의 여성가구수 비중은 14.7%에서 18.7%로 4.0%p 확대되는데 그쳤다.
가구주 연령별 분포를 보면 30대 후반에서 40대 후반이 가장 큰 빈도를 보이나, 정규분포와 비교할 때 60대 후반에서 70대 중반 연령층도 컸다.

2008년 서울지역 가구주의 평균 연령은 1990년(38.7세)에 비해 약 9.3세 상승하는 등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2008년 서울지역 가구주 중 대학 이상의 고학력자 비중은 44.5%로 기타지역(35.5%)을 9.0%p 상회했다. 서울과 기타지역 모두 1990년 이래 고학력화가 진행됐으나, 특히 서울은 2003년부터 대학 이상 학력 가구주 비중이 고교학력 가구주 비중을 상회하기 시작했다.

서울지역 가구의 대학 이상 가구주와 고교학력 가구주 간 비중 차이는 1990년 -19.1%p에서 2003년 8.3%p, 2008년 8.0%p로 변화했다.
2008년 서울지역의 가구유형은 일반가구(67.7%), 맞벌이가구(24.7%), 노인가구(4.7%), 모자가구(3.0%)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때, 노인가구는 65세 이상 가구원과 18세 미만 가구원으로 구성되고, 모자가구는 여성가구주 가구 중 엄마와 18세 미만 미혼자녀로 구성된 가구를 지칭한다.

그러나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제고, 인구구조의 고령화 등으로 일반가구 비중은 축소되는 대신 맞벌이가구 및 노인가구의 비중은 확대되는 추세(일반가구 1998년 73.5%→2008년 67.7%, 맞벌이가구 1998년 21.2%→2008년 24.7%, 노인가구 1998년 2.9%→2008년 4.7%)다.
2008년 세대구분으로 본 서울의 가구구조는 2세대 가구비중이 74.1%로 가장 크고, 그 다음은 1세대(17.7%), 3세대(8.1%), 4세대(0.1%)의 순으로 나타났고, 외환위기 이후 2세대 가구 비중이 75% 내외를 유지하는 가운데 3세대 가구는 줄어든 대신 1세대 가구가 확대됐다. 또 세대가구의 소규모화 등으로 서울의 평균 가구원수도 1990년 이래 2003년을 제외하면 지속적으로 감소(1990년 3.97명→2008년 3.32명)했다.
근로자가구 비중은 1990년 64.1%에 달했으나, 외환위기 당시 54.9%로 축소된 후 2000년대 들어서도 57% 내외를 유지(2008년 58.1%)했다. 이는 기업의 구조조정이 일상화된 데다가 기업의 생산방식도 노동절약적 방식으로 전환됐기 때문이다.

서울지역의 가계소득 대부분 경상소득으로 구성돼 있으며, 경상소득 중에서는 근로소득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2008년 전가구의 가계소득 중 경상소득 비중은 95.6%, 근로가구의 경상소득 비중은 95.8% 수준이고, 2008년 전가구의 경상소득은 근로소득(69.3%), 사업소득(20.0%), 이전소득(7.0%), 재산소득(3.7%) 순으로 구성됐다. 특히 근로자가구의 경상소득 내 근로소득 비중은 92.2%로 우 높았다.

2008년 서울지역 가구의 월평균 실질소득은 323만원으로 기타지역 대비 1.07배 수준이고 실제 소비여력을 의미하는 실질가처분소득은 285만원으로 실질소득의 약 88% 수준이었다.
그러나 2003년 이후 서울지역 가계의 소득증가세가 기타지역을 하회하면서 2003년 이후 서울과 기타지역 간 소득격차가 축소되는 경향(서울지역 가구의 실질소득 2003년 1.20배→2005년 1.12배→2008년 1.07배)을 보였다. 2003~2008년 중 기타지역 가구의 월평균 실질소득은 연평균 2.6% 증가한데 비해 서울지역 가구의 월평균 실질소득은 연평균 0.2% 증가했다.

노인가구와 모자가구는 총소득(경상소득+비경상소득) 중 절반 이상을 이전 소득(노인가구 50.5%, 모자가구 62.4%)에 의존했다. 또 여성가구주와 60대 이상 가구주 가구의 이전소득 비중도 모두 20%를 상회하면서 근로소득 다음으로 큰 비중을 차지했다.

특히 노인가구의 2008년 월평균 실질소득은 133만원으로 전가구 평균의 41.1%에 불과하고, 2003~2008년 중 실질소득증가율도 -6.8%로 최저수준이었다. 이에 비해 여성가구주 가구와 모자가구의 2008년 실질소득은 각각 263만원, 236만원이며 2003~2008년 중 연평균 1.7%, 2.7% 증가했다. 반면, 30·40대 가구주 가구, 맞벌이 가구의 경우 월평균 실질소득수준도 높고, 소득증가율도 서울지역 전가구 평균수준을 크게 상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