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사회, 대세는 마을공동체
위험사회, 대세는 마을공동체
  • 임지원
  • 승인 2012.08.30 14:32
  • 댓글 0

 

[시정일보]폭력을 못 이겨 자살하는 학생들, 서울 도심 한복판에서 일어나는 칼부림, 심란한 세상이다. 게다가 황금알을 낳아준다던 뉴타운사업은 환상이 깨진지 오래. 이래저래 ‘하우스푸어’가 된 우리의 인생은 즐겁지만은 않다.  

그래서 다시, ‘마을공동체’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핵심공약으로 ‘마을공동체 만들기’를 내세웠다. 뉴타운 출구전략은 물론 관계단절로 인한 사회문제를 ‘마을공동체’로 해결하겠다는 의지다. 박원순 시장은 “마을공동체 사업은 기존에 있던 원주민을 내쫓아 새로운 주거지역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원주민들이 의견을 모으고 직접 참여해 공동체를 만드는 것”이라면서 “마을공동체는 관계를 통해 도시 주민들이 존재감과 행복을 느낄 수 있는 가장 좋은 복지시설”이라고 강조한바 있다.

서울시는 지난 3월 관련 조례를 제정했으며, 마을공동체 지원사업 첫해인 만큼 마을일꾼 교육이나 커뮤니티 형성, 마을공동체 사업발굴을 중점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이런 탓에 각 자치구에서도 마을공동체 만들기 사업에 눈을 돌렸다. 하루가 멀다 하고 마을공동체 만들기 지원 사업을 쏟아내고 있는 것. 구청마다 마을공동체 전담팀을 신설하고, 동네 곳곳을 돌며 마을공동체 사업 설명회를 개최하는 것은 물론, 마을일꾼 육성을 위한 교육 및 주민 관심을 유도하는 슬로건 공모 등 이색적인 사업을 추진 중이다. 아직까지는 그렇다할 만한 성과는 없지만.

이의 일환으로 마포구는 주민들의 관심 유도를 위해 ‘우리마을 공동체를 이야기하다’라는 주제로 9월5일 오전 11시부터 구청 로비와 광장 일대에서 ‘주민자치ㆍ마을공동체 박람회’를 준비했다. 마포구에는 마을공동체 성공사례로, 벤치마킹 1순위인 성미산마을과 성산동 무지개 육아사랑방, 염리동 염리창조마을 등이 위치해 있다.
김찬동 서울연구원 연구위원은 연구보고서 <2012 마을공동체 복원을 통한 주민자치 실현방안>에서 “공동체 복원은 지역주민들이 공동체에 대한 연대감과 호혜성을 가지고 지역의 공동사안에 대해 토론하고 논의하는 과정에서 풀뿌리민주주의를 실현하고 주민자치의 참 기능을 회복하는데 이바지한다”고 언급했다.
지방자치단체 통ㆍ폐합이다, 지방의회 폐지다 뭐다 해서 논란이 일고 있는데 문득 마을공동체 실현을 통해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마을공동체 실현, 단순히 단절된 이웃과의 관계 회복만이 아니라 지방자치의 완성은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