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복지의 미래
노인복지의 미래
  • 시정일보
  • 승인 2005.04.14 15:16
  • 댓글 0

文明惠 기자 / myong@sijung.co.kr



우리나라의 고령화 속도가 ‘무서울’ 정도로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전체인구중 65세 이상 인구비율을 고령화율로 따지는데 우리나라는 지난 60년 2.9%에서 2000년엔 7%를 넘어섰고 2019년엔 14.4%로 고령사회에 진입한 후 2050년엔 34.4%로 세계 최고령국가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위에 열거한 숫자는 통계청의 면밀한 추계로 우리의 미래에 암울한 그림자를 던져주고 있는데, 달리 말하면 활기차게 일하는 사람들이 줄어들고 부양해야 할 노인들의 숫자가 급격히 늘어나 결국 국운이 쇠퇴한다는 것과 같은 것이다.
고령화사회의 문제점은 셀 수 없이 많지만 우선 생각해야 하는 것이 노인복지 문제다.
미래에 비하면 현재의 노인들은 그래도 나은 편이다. 자식들이 여러명 있고 ‘효’를 중요시 하는 사회분위기 때문에 자식들은 부모 봉양을 위해 십시일반 돈을 모으고 번갈아 가면서 부모를 모시고 있으니 그나마 다행인 것이다.
그러나 초저출산 시대를 거쳐간 현재의 중년세대들이 노인이 되는 20∼30년 후는 상황이 완전히 다르다. 많아야 두명의 자식들이 두명의 부모를 부양해야 되는 처지가 되니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사람이 나이들면 자연스레 온갖 병이 나게 되고 사망에 이르기전 얼마동안은 퇴행성 질환인 ‘치매’에 걸리기 십상인 것인데 이를 한 두명의 자식이 감당해 내기란 사실상 어렵다.
아주 넉넉한 소수의 가정을 제외하곤 치매에 걸린 노부모를 돌보기 위해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거나 ‘방치’할 수밖에 없는데 두 경우 모두 개인적으로 보거나 사회전체로 보거나 끔찍한 상황이 아닐 수 없다.
이를 해결하는 유일한 대안은 국민과 정부가 합의해 노인복지 인프라를 꾸준히 늘려가는 길 뿐이다.
문제는 예산으로 예산이란 결국 국민들의 주머니에서 나올 수 밖에 없는데 국민들은 이점을 이해해야 하고 정부나 지자체들은 서둘러 장기적인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얼마전 노환에 시달리던 노모를 방치해 굶어죽게 만들었던 소식이 조만간 더 이상 뉴스거리가 안될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