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적인 축제를 위한 지자체들의 자세
성공적인 축제를 위한 지자체들의 자세
  • 임지원 기자
  • 승인 2009.01.07 21:21
  • 댓글 0

임지원 기자

새로운 한해를 시작하는 1월, 각 지자체들은 각종 사업의 추진 사항을 점검하느라 바쁘다. 그러나 지난해 말 행정안전부가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행사ㆍ축제 비용 집행 결과를 공개함에 따라 올 한해 축제 비용의 증액편성이나 집행이 주춤할 것으로 예상된다. 행정안전부는 2007년도 결산 기준으로 각 지자체의 행사ㆍ축제 비용이 전년에 비해 13.5%나 늘어난 6912억이라고 밝혔다.

지방자치제 시행 이후 지방자치단체끼리의 ‘경쟁’에서 살아남는 수단으로 ‘축제’를 많이 선택했다. 이렇다 보니 우후죽순 늘어난 축제는 전국적으로 1000개가 넘고, 서울시만 해도 해마다 100여개가량의 축제가 열린다. 대부분의 축제는 지역만 다를 뿐 개최시기와 행사내용에 큰 차이가 없다. 당연 시민들의 기억에 남는 자치구 축제는 몇 안 된다. ‘단체장 홍보를 위한 전시성 행정’ ‘세금 낭비’ 등의 비난은 어떻게 보면 당연한 결과다.

그렇다면 축제를 최소화하는 것만이 정답일까. 많은 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축제는 주민화합ㆍ시민의식 함양ㆍ경제적 효과ㆍ관광 효과ㆍ지역이미지 개선 등의 파급효과가 있다. 예를 들면, 보령 머드축제의 경우 1년 30여억원의 예산 지원으로 546억원의 지역경제 파급효과를 가져왔고, 함평군은 나비축제의 성공으로 지역 인지도 및 이미지 제고에 성공했다.

이렇게 볼 때 2007년 전년에 비해 행사ㆍ축제 경비가 238.9%(4억원→13억원)라는 가장 큰 증가율을 보인 용산구는 행정안전부가 공개한 이 같은 결과를 의식하고 올 한해 축제비용을 축소하기 보다는 축제에 관한 철저한 분석을 바탕으로 ‘축제를 통해’ 지자체 간 경쟁에서 우위에 설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야 한다. 현재 용산구는 ‘남이장군 사당제’ ‘이태원 지구촌 축제’ 등 대표적인 축제를 개최하고 있다. 이에 지역적 특성을 살린 특색 있고 차별화된 축제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축제에 대한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특히 ‘이태원 지구촌 축제’는 외국인들에게 가장 인지도가 높은 지역이며, 한국에서 가장 이국적인 분위기를 지닌 이태원을 배경으로 개최돼 용산구 이미지를 구축할 수 있는 잠재력이 큰 수단이다.

2009년 올 한해, 용산구뿐만 아니라 각 지자체들이 ‘남도 하니까 나도 한다’는 식의 축제 개최에서 벗어나 장기적인 관점에서 축제의 목적 및 방향에 대한 재정비를 통해 도시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