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을 잊지 않겠습니다!” 전국서 추모물결
“당신을 잊지 않겠습니다!” 전국서 추모물결
  • 방용식 기자
  • 승인 2009.05.28 12:57
  • 댓글 0

27일 봉하마을 추모객 100만 넘을 듯…정부분향소, 27일 17시 43만 찾아
오세훈 서울시장을 비롯한 서울시 간부공무원들이 25일 서울역사박물관 분향소에서 조문하고 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逝去)를 애도하는 추모행렬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 서울시청 대한문 앞을 포함, 민주당과 시민단체 등 민간차원에서 마련한 분향소를 찾은 시민은 이번 집계에서 제외됐음을 감안할 때 전국적으로 추모객은 박정희 전 대통령 당시의 200만 명을 웃돌 것으로 예상된다.
노 전 대통령의 고향인 봉하마을을 찾은 추모객은 27일 오전 60만을 넘어섰다. 또 시·도와 시·군·구가 마련한 전국 99곳의 정부분향소에도 27일 오후 5시 현재 42만8627명의 추모객이 다녀간 것으로 집계됐다.

노무현 전 대통령 국민장 장의위원회는 26일 자정까지 봉하마을을 방문한 추모객이 70만을 넘은 것으로 잠정집계했다.
특히 장의위원회는 26일 하루 22만여 명이 빈소를 찾아 분향한 데 이어 27일에도 새벽부터 추모객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어 27일이 지나면 100만 이상이 다녀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장의위원회는 추모객의 분향 대기시간이 3시간 이상 걸리자 27일부터 한꺼번에 분향하는 추모객 수를 이전보다 2배 많은 100여명으로 늘렸지만 대기행렬은 좀처럼 줄지 않고 있다.
25일 오전 8시부터 운영을 시작한 정부분향소 99곳을 찾는 시민도 계속 늘고 있다. 25일 오후 9시 기준으로 10만명을 조금 넘던 추모객이 이튿날인 26일에는 28만5335명으로 약 3배 늘었다. 27일에는 오후 5시 현재 42만8627명이 분향했다.

지역별로는 종로구 신문로 역사박물관과 서울역 시계탑 등 8곳의 분향소를 마련한 서울시에 27일 5시 9만3644명이 다녀갔다. 부산역광장 등에 분향소를 설치한 부산은 4만4176명, 대구는 1만8200명, 인천은 1만710명, 광주는 1만9345명, 대전은 3만1000명, 울산은 9928명이 분향소를 찾아 노무현 전 대통령을 추모했다. 17곳으로 가장 많은 정부분향소가 설치된 경기도는 3만6068명, 강원 1만528명, 충북 1만7024명, 충남 2만4378명, 전북 3만7860명, 전남 2만7736명, 경북 1만8120명, 경남 2만3810명, 제주 6100명이 분향소를 찾았다.
한편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로 국민장 기간 동안 서울시를 비롯한 자치단체의 오락성 행사도 취소 또는 연기되거나 간소화됐다. 서울시는 24일 개최예정이던 ‘별별가족한마당’ 행사를 취소했고 강남구도 25일 저녁 압구정동에서 개최하려던 ‘강남패션페스티벌’ 피날레 행사인 ‘앙드레김 패션쇼’를 연기했으며 나머지 재즈콘서트 등 행사는 그만뒀다. 성동구도 28일 열 계획인 ‘단오한마당’을 취소했고, 양천구와 송파구 등 나머지 자치구도 장의기간 동안 축제행사를 포기했다.



盧 전 대통령 장의위원회 ‘사상최대’
한승수·한명숙 공동위원장 등 1389명…최규하 대통령 2배 규모


서울 덕수궁 대한문 앞에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마련한 분향소에서 27일 낮 추모객들이 故 노무현 전 대통령 영정에 절하고 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국민장 장의위원회가 1389명으로 구성됐다. 지난 2006년 10월 최규하 전 대통령의 국민장 장의위원회(위원 680명)보다 2배가 넘는 사상 최대 규모다.
우선 장의위원장은 한승수 국무총리와 한명숙 전 국무총리가 함께 맡는다. 이달곤 행정안전부 장관은 집행위원장을, 문재인 전 노무현 대통령 비서실장은 운영위원장으로 일한다. 집행위원은 유명환 외교통상부장관(외교의전), 윤증현 기획재정부장관(재정), 유인촌 문화체육부장관(홍보), 강희락 경찰청장(경호)이 선임됐다.
이번에 첫 구성된 운영위원은 노무현 전 대통령 시절 국정의 축을 담당하던 인사들로 꾸려졌다. 권오규 전 부총리를 비롯해 송민순 전 외교통상부장관, 이용섭 전 건설교통부장관, 윤승용 전 대통령비서실 홍보수석, 천호선 전 대통령비서실 홍보수석 등이다.
분야별 장의위원을 보면 국회의원 및 국회사무처 차관급 이상 278명, 대법원 대법관과 헌법재판소 재판관 및 선거관리위원회·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등 55명, 행정부 장·차관급 또는 각종 위원회 위원장 116명, 3군 참모총장 등 군인 5명, 시·도지사(김해시장 포함) 16명, 국·사립대학총장 167명, 경제계·언론계·종교계 79명, 제17대 국회의원 155명, 전직 장·차관급 이상 주요인사 281명, 제16대 대통령자문위원장 등 17명, 가족대표 16명, 친지 및 유족 추천인사 111명이다.


영결식 열리는 경복궁 앞뜰은?
박정희·최규하 전 대통령 이어 세 번째



2006년 10월26일 경복궁 흥례문 앞에서 거행된 최규하 전 대통령 국민장 영결식 장면.

경복궁 앞뜰은 노무현 전 대통령 국민장 영결식장으로 결정됨에 따라 세 번째 대통령 영결식장이 됐다. 경복궁의 정문인 광화문과 편전(便殿; 임금이 정사를 보는 건물)인 근정전 정문인 근정문 사이에 있던 흥례문 앞의 넓은 터로 과거 중앙청 광장이 자리했다.
이곳은 일본제국주의 시절인 1916년 조선총독부 청사(옛 중앙청사) 신축에 따라 헐렸다가 지난 2001년 조선총독부 자리에 복원됐다. 전체 면적은 8700㎡에 이르지만 현재는 일부 구역이 광화문 복원과 문화재 발굴조사가 진행 중이다.
경복궁 앞뜰은 지난 1979년 11월3일 박정희 전 대통령의 국장 영결식장으로 사용됐고 2006년 10월26일에는 최규하 전 대통령 국민장 영결식이 현재 흥례문 앞에서 엄수됐다. 앞서 1974년 8월19일에는 박정희 전 대통영의 부인 육영수 여사의 국민장 영결식도 이곳(옛 중앙청 광장)에서 치러졌다.
행정안전부는 “흥례문 앞뜰의 가용면적을 모두 활용하면 영결식장에 약 3000명을 수용할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행정안전부는 이와 관련, 흥례문 앞뜰의 펜스를 철거하고 공사장비와 자재를 치우는 한편 지난해 열린 제63회 광복절 및 대한민국 건국 제60주년 기념행사 때처럼 광화문 앞에 대형전광판을 설치, 영결식 장면을 생중계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용어설명 국민장, 국장


노무현 전 대통령의 장의형식인 국민장(國民葬)은 박정희 전 대통령의 국장(國葬)과는 <국장·국민장에 관한 법률>과 동법시행령에 따라 정부가 공식 주관하고, 전·현직 대통령이 국가 및 사회에 현저한 공헌을 남겨 추앙을 받은 인물이 대상이라는 점에서 같다.
지금까지 국장은 1979년 11월3일 박정희 전 대통령이 유일하다. 이때 장의위원장은 최규하 대통령권한대행이 맡았다. 또 장의기간이 9일이며 장의비용은 전액 국고에서 부담했다. 장의기간 내내 조기를 게양하고 장례일 당일 관공서가 휴무했다.

국민장은 그 대상이 상대적으로 많다. 1949년 7월5일 김구 선생을 시작으로 이시영(1953년 4월17일), 신익희(1956년 5월23일), 조병옥(1960년 2월19일), 장면(1966년 6월12일), 육영수(1974년 8월19일), 서범석 등 미얀마 아웅산묘지 테러로 사망한 순국외교사절 16명 합동국민장(1983년 10월13일), 최규하 전 대통령(2006년 10월26일) 등이 대표적이다. 국민장은 또 국장과 달리 영결식 당일에만 조기를 게양하고 관공서도 쉬지 않는다. 장의비용 역시 일부만 국가에서 보조한다.
그러나 국장과 국민장은 모두 주무부처인 행정안전부장관의 제청과 국무회의 심의의결 및 대통령 재가를 거쳐 결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