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지자체의 일자리 창출이 국가경쟁력이다
사설/ 지자체의 일자리 창출이 국가경쟁력이다
  • 시정일보
  • 승인 2017.01.12 15:15
  • 댓글 0

[시정일보] 2017년 국민들은 마음속으로 벼르고 있다. 지긋지긋한 지역갈등만 부추기는 정치는 가라. 공약만 남발하는 정치는 더 이상 보지 않겠다. 권력의 윗선만 보는 정치인도 골라내겠다. 지역민의 삶의 질을 높여주며 진정한 지역 재생과 일자리 창출에 힘을 쏟는 단체장을 눈여겨보고 있다. 이에 부응하듯 지자체의 2017년의 일자리 창출 계획이 탄력을 보이고 있다. 서울시는 청년부채를 탕감하고 거주자 공간을 보장하기 위한 ‘청년안전망’정책을 수립한다. 1인 청년가구를 위해 낡은 고시원을 리모델링하거나 빈집 또는 공동체 주택을 활용해 3468채인 임대주택을 2만350채로 늘릴 계획이다. 서울에 거주하는 18세 이상 39세 이하 청년실업자를 대상으로 한 ‘청년뉴딜자리’ 규모도 늘어난다. 이달 중 산업 문화 환경안전 교육혁신 등 27개 직업군, 총 5500여명을 모집해 전일근무와 파트타임을 고를 수 있도록 했다. 수제화거리와 가죽공방이 밀접한 성동구도 가죽공예 예비 장인 양성과정을 모집하거나 선발 중이다. 경남도는 일자리 예산으로 역대 최고인 219억원을 확보해 조선실직자 지원과 청년고용해소에 집중 투입했다. 경남도는 지난해 149억원보다 49.1%나 증액했다.

부산시도 일자리 창출 예산으로 총 1조 300억원을 투입한다. 일자리 투자를 강화하는 것을 넘어 경제 체질변화와 혁신을 가속화한다는 전략아래 일자리 19만개를 만든다는 목표다. 청년이 선호하는 지식유망산업집중 투자로 청년일자리 창출 기반을 확중하고 맞춤형 훈련 등을 통해 청년취업역량을 끌어올릴 계획이 진행 중이다. 또 육아종합지원센터를 확충해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 지원을 위한 보육환경을 조성하고 베이비부머세대와 노인일자리도 맞춤형으로 지원한다.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3개소를 확대하는 것은 물론 장애인일자리통합지원센터를 운영해 장애인의 사회참여와 경제적 자립도 지원한다. 광주시는 일자리 창출사업의 분야로 지난해 최대 역점 사업이었던 청년사업시비 160억원을 포함해 총 360억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한다. 이를 통해 청년창업열기를 말바우시장 등 전통시장으로 확산, 도시의 활력을 높이고 관광객도 유인한다는 계획이다. 청년드림사업, 구직활동 청년교통카드 지원사업 등 청년 취업정책과 100억원 규모의 청년창업펀드도 조성해 일자리의 저변정책을 펼친다.

경북도 역시 금년도 예산안을 신산업육성과 이를 통한 일자리 창출에 중점을 두고 짰다. 구체적으로 타이타늄 산업육성, 탄소성형부품 산업 클러스터 구축, 국민안전로봇실증시험단지 및 건설기계부품 특화단지 조성 등 신산업관련 산업, 중소기업 과학기술분야에 2000억원 이상을 투자해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 넣을 방침이다. 청년들의 고용절벽 해소를 위한 예산을 지난해보다 3배 이상 늘렸고 도정의 모든 정책역량을 청년 일자리 창출에 집중하고 있다.

지금까지 지자체가 보여 주기 정책에서 실질정책으로 가고 있다. 선심정책에서 구체정책으로 발을 옮기고 있다. 지자체의 일자리는 반년만 지나면 두드러지게 실적이 나오게 돼 있다. 국민들은 지자체 단체장의 구체적인 일자리 창출을 눈여겨본다. 지자체의 살림이 국력의 기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