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정일보 사설 / 대선후보자는 예술가의 지원책을 공약하라
시정일보 사설 / 대선후보자는 예술가의 지원책을 공약하라
  • 시정일보
  • 승인 2017.03.23 13:21
  • 댓글 0

[시정일보]대한민국에서 전업 작가는 직업이 될 수 있을까. 특히 시인도 직업이라고 할 수 있을까. 문인협회의 회원은 1만3000여명이다. 시 분과소속은 8000여명이다. 최근 5년간 단행본에 올린 시인은 총 653명에 이른다.

신춘문예, 문예지에 공모해 등단하는 시인은 30~40여명이다. 수년간 공부하고 수백 대 일의 신춘문예 등단했어도 시인의 삶은 고단하다. 이런 것을 두고 사각지대에 놓인 것이라고 할까.

서울시 지하철에 게재된 시는 1000여 개에 이른다. 여기에 게재된 고료는 5만 여원이 된다. 시인은 지하철 유리벽에 게재된 시가 시민에게 위로가 되고 삶의 방향이 된다는 점에서 고료보다는 더 큰 보람으로 생각한다.

시집을 내는 경우도 자비 출판이 95%를 넘는다. 5% 남짓이 출판사에 의해 출판이 된다. 전업시인은 고작 5% 남짓도 후한 통계다. 문인이 사각지대에 놓인 것은 지금까지 정치권이나 당국의 관심 밖이었다. 정치권과 선이 닿는 단체만이 지원을 받았다는 사실은 예술인들의 공공연한 비밀, 알려진 현실이다.

대표적으로 이명박 당시 서울시장은 시울시 문화재단을 만들고 상당한 예산을 지출한 것으로 알려진다. 당시 정연희 소설가는 재단 이사장이었다. 배우 유인촌이 대표였다. 이명박 시장이 대통령에 당선되자 유인촌은 문화부 장관을 엮임했다.

이렇듯 예술가에게는 정치권과 연관이 된 단체만이 지원을 받게 된다. 그래서 블랙리스트는 지난 정권에도 있었다는 말이 나오게 된 것이다. 다르다면 이전의 정권들은 블랙리스트를 만들지 않았고 불이익을 표면화하지 않았다. 그러나 친정부적 예술인에 지원됐다. 문인이 되려면 대학교의 문창과에 입학을 하나 취업을 한다는 것은 요원한 현실이다.

대학, 대학원 포함 71개교 중 23개교가 문창과를 없애거나 다른 과로 통합시켰다. 학생들은 ‘돈을 벌어야 한다는 압박감에 시를 쓰려고 해도 집중이 안 된다’고 말한다. 적은 액수나마 정부지원을 받으려 해도 진입장벽은 높은 것이 아니라 아예 부실한 상황이다.

대선후보자는 이번 블랙리스트를 교훈 삼아 예술의 르네상스를 위해 공약을 만들기 바란다. 정부기관에 공정성을 위한 기구를 만들어야 한다. 기구는 대통령 직속기관에 두되 감사원급 기능을 갖춰야 한다. 지자체에 속한 각종 예술단체의 운영은 매우 편협한 경우다. 한국을 대표하는 한국문인협회의 경우를 보아도 정부의 지원은 고작 1억원 남짓이다. 문인협회가 두 개의 월간, 계간지를 만들기에도 부족한 금액이다.

대선후보 구체적 공약은 첫째 개인 창작집을 갖고 있거나 10년 이상 된 장기 예술인을 우선으로 지원한다. 둘째 지자제가 운영하는 각종 예술 공연 건물에 10년 이상 된 예술인들에게 창작활동을 위한 공간을 확보해 준다. 셋째 20년이 넘은 예술인의 안전망을 위한 의료보험을 마련한다. 넷째 40년이 넘은 예술인에게 연금을 지원한다. 다섯째 20년이 넘은 예술분야 법인단체에 간행물의 제작비를 지원한다. 이 같은 예술정책을 펼친다 해도 재정의 편성은 크지 않는 부분이다.

그 나라의 예술이 미치는 영향은 우주의 무한함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