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일자리ㆍ지방세 ‘빅테이터’ 활용
지자체, 일자리ㆍ지방세 ‘빅테이터’ 활용
  • 윤종철
  • 승인 2017.06.12 14:29
  • 댓글 0

행자부, 공공 빅데이터 표준분석모델 10종 구축... 현황 분석, 사전예측 등 가능

[시정일보] 앞으로 지자체의 민생관련 업무에 ‘빅데이터’가 활동돼 업무를 보다 쉽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될 것으로 보인다.

공공 데이터 활용을 통해 지역내 기업과 필요 인력이 연계되며 그간 담당 공무원이 일일이 파악할 수 없었던 재산정보와 신용정보 등도 종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게 되면서 체납액 추징을 위한 방법의 정확도도 크게 높아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행정자치부는 지자체 일자리 창출과 지방세, 응급환자 등 10가지 ‘공공 빅데이터 표준분석모델’을 구축해 각 지자체에 적용할 방침이라고 12일 밝혔다.

이번 ‘공공 빅데이터 표준분석모델’은 그간 중앙부처와 지자체, 공공기관이 개별적으로 분석한 빅데이터 260개 과제 중 1회성 분석이 아닌 행정 업무에 지속적으로 활용돼 각 행정기관의 의사결정지원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부분을 추출한 것이다.

행자부가 구축한 표준분석모델은 △지역기업ㆍ구직자 맞춤형 일자리 매칭 모델 △지방세 체납 정보 분석 모델 △상수도 누수지역 탐지 모델 △응급환자 골든타임 확보를 위한 운영(운영자금, 거점) 최적화 모델(2종) △복지자원(자원봉사인력, 기부물품) 최적 배분 모델(2종) △도로안전(재포장, 포트홀, 안전시설물) 관리 모델(3종) 등 10가지다.

이에 앞으로 지자체가 이 모델을 적용함으로써 구직자와 지역기업의 눈높이 차이를 데이터 기반으로 파악함으로써 ‘구인-구직 미스매칭’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체납자에 대한 재산정보, 신용도 등에 대한 표준 분석을 통해 상환 능력이 있는 체납자 정보를 파악하는 등 효율적인 체납 회수 활동과 회수율 제고도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윤종인 행자부 창조정부조직실장은 “행정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빅데이터 표준분석모델을 정립하고, 이를 전부처 및 지자체로 확산함으로써, 4차산업혁명 시대에 발맞춰 데이터기반 과학적 행정이 구현되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